유닉스에서는 파일들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트리 형태의 디렉터리 구조를 사용한다.
유닉스 및 리눅스 환경을 처음 접하면서 기존의 소스 및 구현들이 어느 디렉토리에 있구나,,해서 어깨 넘어로 배운 지식뿐이다. 이에 정확한 디렉터리의 구조와 의미를 집고 넘어가자.
/bin | 유닉스 기본 유틸리티들을 모은 디렉토리 |
/sbin | 유닉스 시스템 유틸리티들을 모은 디렉토리 |
/dev |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 파일들이 위치 |
/lib | 일반적으로 공유 라이브러리 위치 |
/boot | 커널 이미지와 같은 시스템 부팅과 관련된 파일들이 위치 |
/home | 일반 사용자 홈 디렉터리 |
/root | 슈퍼 유저(root)를 위한 디렉터리로 일반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없다. |
/etc | 시스템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이 위치 |
/proc | 프로세스와 시스템(커널)의 상태를 제공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 |
/usr | 서드파티 유틸리티,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파일들, 매뉴얼등이 위치 |
/usr/include |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헤더파일 |
/usr/lib |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라이브러리 |
/usr/bin, /usr/sbin | 서드파티나 확장 유틸리티를 위한 디렉터리 |
/usr/local | 시스템 관리자가 시스템을 위해 설치하는 유틸리티나 헤더파일, 라이브러리 등이 위치하는 디렉터리 |
/usr/share |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공유 파일들을 위한 디렉터리 |
/usr/bin/x11 | x 윈도 시스템을 위한 디렉터리 |
/var | 가변적으로 변화하는 Log나 메일과 같은 파일을 위치하는 디렉터리 |
/tmp | 일반적으로 임시로 사용되는 파일 디렉터리 |
/lost+found | 디스크 오류나 부적절한 시스템 종료에 의해 일어버리는 파일을 위해 사용되는 디렉터리 |
/opt | 기본적으로 설치된 것을 제외한 모든 소프트웨어 및 애드온 패키지를 위해 준비된 디렉터리 |
/selinux | NSA에서 개발한 SELinux 파일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. |
임베디드에 사용되는 모든 파일시스템들은 개발자가 정의하여 보다 다양하게 구성되거나 소규모로 구성되어있을 수 있다. 대개 큰 흐름은 위와 같다고 할 수 있다.
'Linux > Linux System Programm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trace 메세지로 시스템 콜 exit() 프로세스 생성과 종료 과정 분석 (0) | 2022.12.22 |
---|---|
Kill -9 Program ftrace (유저단) (0) | 2022.12.22 |
프로세스는 뭘까? - 정의 (0) | 2022.12.08 |
ftrace란? (0) | 2022.11.24 |
dump_stack()함수 (0) | 2022.11.20 |